최근 방역 당국이 마스크 착용 의무를 권고로 바꿨지만, 실내는 물론 길거리에서도 마스크를 쓴 사람들을 더 많이 찾아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은 왜 마스크에서 해방되지 못하는가? <br /> <br />미국 뉴욕타임스가 한국과 일본 등 아시아 국가들이 제재 완화에도 여전히 마스크를 착용하는 이유에 대해 집중 분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첫 번째 이유는, 생활 습관입니다. <br /> <br />한국과 일본은 2002년 사스와 2012년 메르스 등으로 코로나 이전부터 마스크 착용을 경험했죠. <br /> <br />이러한 경험이 지난 2년간의 팬데믹을 거치면서 더욱 습관으로 굳어졌다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마스크를 쓰면 화장을 하거나 '표정 관리'할 필요가 없다는 점도 이유로 꼽힙니다. <br /> <br />줄곧 가려왔던 마스크 속 얼굴을 보이기가 부끄럽다는 의견도 있는 한편 일본에서는 "마스크를 벗는 게 마치 속옷을 벗는 것" 같다며 마스크를 속옷에 비유하는 신조어까지 등장할 정도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의 권고 방침도 시민들이 마스크를 쉽게 벗지 못하는 요인입니다. <br /> <br />대부분의 실내 공간에서는 마스크를 쓰지 않아도 되지만, 대중교통이나 의료시설 등에서는 여전히 의무사항이기 때문에 썼다 벗었다 하느니 차라리 쓰고 있겠다는 거죠. <br /> <br />마스크가 일상이 된 것도 있지만 아시아 특유의 문화도 작용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다른 사람에게 폐 끼치지 않으려는 예의범절 문화가 계속 마스크를 쓰게 했고, <br /> <br />또 타인과 달라서는 안 된다는 '동조 압력'이 강하기 때문에, 나만 벗고 있으면 피해가 될 수 있다는 사고방식도 한몫했습니다. <br /> <br />환경적인 요인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동아시아 대기의 미세먼지 오염이 심각해 공해 차단용으로 계속 써온 점도 마스크를 쉽게 벗지 못하는 이유라는 거죠. <br /> <br />결국은 지난 3년간 마스크는 하나의 습관으로 굳어진 데다 동조 압력, 예의범절과 같은 특유의 사회적 분위기까지 더해지면서 전 국민이 여전히 눈치 게임을 하고 있는 건 아닐까 싶은데요 <br /> <br />마스크에서 완전히 해방되려면 아직은 시간이 더 필요해 보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박석원 (ancpark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203165143545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